뒤늦게 한글을 깨우친 어르신들이 손수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시화작품은 언제나 잔잔한 감동을 전해주는데요.<br /><br />한평생 겪은 절절한 사연을 서툴지만 솔직한 글과 그림으로 표현한 작품들, 함께 감상해보시죠.<br /><br />시집을 오자마자 남편이 입대한 김순자 어르신.<br /><br />시어머니와 시동생까지 돌보며 힘들게 농사짓던 시절을 돌아봅니다.<br /><br />"억울하고 힘든 마음 전하려 해도 / 전할 수 없는 이 마음 캄캄한 밤길보다도 더 어두운 이 마음 / 죽어 귀신이 돼서라도 당신 찾아가 하소연하고 싶어 한글 공부 시작했네"<br /><br />그 시절의 한과 설움이 그대로 전해지는데요.<br /><br />충주에서 열리고 있는 한글학교 학생들의 시화전.<br /><br />아픈 남편을 위해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따려는 어르신부터, 손주에게 그림책을 읽어주고, 군대 간 손자에게 위문편지를 쓰고 싶다는 경우까지, 한글학교에 온 이유도 다양했습니다.<br /><br />한글학교 학생들은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평생 까막눈의 설움을 안고 살아온 노인이 대부분인데요.<br /><br />뒤늦게 도전한 한글 공부를 잘 끝낸 만큼 이제는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53106023403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